밴드폭을 이용한 매매기법 볼린저밴드
주가는 탄력적으로 움직입니다. 즉, 여러 가지 물리적 법칙이 적용됩니다.
주가가 물리적 법칙과 관계가 있다고 하니 좀 이상하죠? 주가는 가격이 내려간 만큼 오르는 경우와 올라간 만큼 내려오는 성질이 있습니다. 즉, 고무줄처럼 탄력적으로 움직입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한 보조지표가 볼린저밴드입니다.
볼린저밴드의 특성을 통해 주식 흐름을 알아보고, 실전 차트를 통해 매매기법을 배워보겠습니다.
볼린저밴드란?
주식에는, 그룹사운드의 밴드도 아니고, 고무밴드도 아닌 볼린저밴드란 말이 있습니다. 이는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요? 먼저 추측 가능한 것은 '볼린저는 사람 이름일 것이다'라는 추측을 할 수 있을 테고, 그리고 밴드 모양이 나올 것이라는 추측 정도이겠죠.
맞습니다! 볼린저밴드는 개발자인 John Bollinger의 이름을 딴 지표로서 '이동평균선의 상 하로 밴드를 만들어 시세의 반전을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음 그림을 보실까요.
볼린저밴드는 주가의 추세의 강약과 지지선, 저항선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중간밴드 위에 있을 때를 상승추세, 중간 밴드 아래에 있을 때를 하락 추세에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상승추세에 있을 때는 상한선이 저항선, 중간선이 지지선, 반대로 하락 추세에 있을 때는 중간선이 저항선, 하한선이 지지선 역할을 합니다.
볼린저밴드의 4가지 특징을 통한 실전 매매기법
볼린저밴드의 특징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실전 차트를 보겠습니다.
볼린저밴드 특징 하나!
'주가의 움직임이 현저히 줄어들고 밴드의 폭이 팽팽하게 줄어든 후에 발생되는 주가의 움직임은 급격하다.'
즉, 밴드의 상한폭이 좁다는 것은 횡보 추세를 지속적으로 보여왔다는 것으로 향후에 추세 변화의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입니다. 상승이든 하락이든 추세의 진행은 밴드의 폭이 확대되면서 진행됩니다. 특히, 긴 시간 동안 밴드의 폭이 축소되어 왔다면 급등락을 연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차트를 유심히 관찰해 보면 밴드폭이 확장할 때 주가가 상한선을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가, 아니면 하한선을 벗어나려는가에 따라 추세의 방향이 상승인지 하락인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 상한선을 벗어나려 하면서 밴드폭이 확장되면 상승국면 진입으로, 하한선을 벗어나려 하면서 밴드폭이 확장되면 하락국면 진입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두 번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특징 둘!
좀전에 차트에서 본 것처럼 밴드폭이 팽팽할 때 주가가 밴드폭 밖으로 이탈되면 추세가 형성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좀 더 확인해 보려면 일반적으로 상한선을 벗어나려 할 때 양봉이 나온다면 더 신뢰도가 높고, 반대로 하한선을 벗어나려 할 때에는 음봉이 형성될 때 신뢰도가 더 높습니다. 또한 상승추세에서 밴드폭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면 지수가 더욱 상승하고, 하락 추세에서 밴드의 폭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면 지수는 더욱 하락한다는 원리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차트를 보실까요?
위의 차트에서 볼린저밴드의 또 다른특징을 볼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특징 셋!
주가가 볼린저밴드 중간선 위에 있을 때(상승추세) 상한선은 저항선, 중간선은 지지선 역할을 하며 주가가 중간선 아래에 있을 때(하락 추세) 중간선은 저항선, 하한선은 지지선 역할을 합니다.
횡보 추세에서는 상한선과 하한선을 주로 매도 매수 신호로 봅니다.
위의 차트에서 보면 밴드의 하한선을 타고 내려오다가 밴드 밖에서 저점을, 밴드 안에서 고점을 만들면서 추세전환 신호를 보였다는 것이 눈에 띄는데, 또 하나의 특징을 볼 수 있겠죠.
볼린저밴드 특징 넷!
주가가 밴드의 상한선을 타고 가다가 밴드를 이탈, 안으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에는 매도로, 주가가 밴드의 하한선을 타고 가다가 밴들들 이탈, 안으로 진입하면 매수 고려를 합니다.
차트를 하나 더 보실까요.
여기서 우리는 여러 가지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주가나 지수의 움직임이 큰 시기에는 밴드의 폭이 넓어지고, 움직임이 작은 시기(횡보)에는 밴드의 폭이 좁아지는 특징도 보이고, 밴드폭이 좁아지면 조만간 추세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에 밴드폭이 넓어지면 기존 추세가 더욱 강화된다는 것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참으로 재미있는 밴드입니다. 예를 들어, 밴드의 폭이 팽팽하게 줄어든 상태에서 주가가 상한선을 이탈하려는 모습을 보이면 매수 타이밍으로, 지속적인 상승을 보이면서 밴드폭이 확장되고 있는데 줄어들기 시작한다면 매도 포지션으로 잡았다가 중간선의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매매에 임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종합해 놓은 차트를 보실까요.
이해가 되시나요? 다시 한 번 복습해 보겠습니다.
상 하 중간 밴드로 지지선, 저항선을 설정할 수 있다!
또 기왕이면 중간선 밑에서 노는 주식보다 위에서 노는 주식이 더 좋다!
만약, 어디서 놀던 밴드폭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면 상승과 하락의 갈림길이다!
주가가 상한선 밖에서 안으로 진입할 경우 매도 타이밍이고, 하한선 밖에서 안으로 진입할 경우를 매수 타이밍으로 잡는다! 등 많이 응용할 수 있습니다.
주식 매매를 할 때 볼린저밴드를 보는 것은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이것은 우리가 과거에 배웠던 거래량을 꼭 체크하여야 합니다.
한번 정리해 볼까요
- 볼린저밴드란 이동평균선의 상 하로 밴드를 만들어 시세의 반전을 판단하는 것으로 주가 추세의 강약과 지지선, 저항선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 중간밴드중간 밴드 위에 있을 때를 상승추세, 중간 밴드 아래에 있을 때를 하락 추세에 있다고 한다.
- 상승추세에 있을 때는 상한선이 저항선, 중간선이 지지선, 반대로 하락추세에 있을 때는 중간선이 저항선, 하한선이 지지선 역할을 한다.
- 주가의 움직임이 현저히 줄어들고 밴드의 폭이 팽팽하게 줄어든 후에 발생되는 주가의 움직임은 급격하다. => 추세 변화 암시
- 밴드폭이 팽팽할 때 주가의 밴드폭 밖으로 이탈되면 추세가 형성된다는 특징이 있다. 상승추세에서 밴드폭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면 지수가 더욱 상승하고, 하락 추세에서 밴드폭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면 지수는 더욱 하락한다.
- 주가가 볼린저밴드 중간선 위에 있을 때(상승추세) 상한선은 저항선, 중간선은 지지선 역할을 하여 주가가 중간선 아래에 있을 때(하락 추세) 중간선은 저항선, 하한선은 지지선 역할을 한다.
- 주가가 밴드의 상한선을 타고 가다가 밴드를 이탈, 안으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에는 매도로, 주가의 밴드의 하한선을 타고 가다가 밴드를 이탈, 안으로 진입하면 매수 고려를 해본다 => 주로 단기 매매기법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세에 선행하는 모멘텀지표 (0) | 2022.08.06 |
---|---|
보조지표의 공통점을 알면 차트가 쉽게 보인다 (0) | 2022.07.31 |
포물선을 통해 추세를 파악하는 파라볼릭 지표 (0) | 2022.07.28 |
추세의 강도를 알리는 지표 DMI (0) | 2022.07.27 |
CCI를 통해 매수 매도시점 찾기 (0) | 2022.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