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의 강도를 알리는 지표 DMI
주식투자를 하면서 가장 궁금한 것이 '내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 상승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지금 팔아야 할까?' 하는 많은 의문점들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상승추세이면 상승 강도는 어떤지, 하락이면 하락 강도는 어떤지에 대해 매우 궁금하게 여기게 됩니다. 그럼 어떻게 이러한 궁금증을 풀 수 있을까요?
현재의 종목이 상승추세에 있는지 아니면 하락추세에 있는지 강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지표가 DMI지표입니다.
오늘은 DMI지표를 통한 매매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DMI지표란?
추세 분석편을 통해서 주가는 상승추세, 하락 추세, 횡보 추세가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자신이 갖고 있는 종목이 어떤 방향성을 갖고 있는지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매매기법이 틀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DMI지표는 일명 '방향운동지수' 라고 하여 방향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현재 종목의 움직임이 상승추세이든 하락 추세이든 추세적인 움직임을 보이는지 아니면 횡보 추세, 즉 비추세적인 모습을 보이는지 알려줍니다. 상당히 유용한 지표로 알아두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DMI에 관한 특징 등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DMI 특징
- 1979년 탄생
- 주가 움직임의 추세와 추세의 변화를 찾는 데 유용한 지표로 오늘의 주가와 움직임을 전일의 주가 움직임과 비교해서 강세와 약세의 변화를 알 수 있다.
- 시장은 크게 추세적 시장과 비추세적 시장으로 나뉜다.
- 추세적 시장 : 시장이 강세이든 약세이든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며 진행되는 시장(상승추세 하락추세)
- 비추세적 시장 : 일정한 방향성 없이 움직이는 횡보하는 시장(횡보추세)
- DMI는 지금 시장이 추세 시장인지 아닌지, 상승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를 알려주는 지표(보통 14일 적용)
이해가 되셨나요? 이제 하나 둘 매매기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DMI의 매매기법 3가지
DMI의 계산방식은 상당히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생략하고, 여기서는 매매기법 위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매매기법 1 - +DI와 -DI의 교차
가장 기본적인 매매기법으로 +DI와 -DI의 교차지점을 매매전략으로 세우는 것입니다. +DI가 -DI를 상향 돌파할 때 매수, +DI가 -DI를 하향 돌파할 때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위의 차트를 보면, +DI와 -DI의 교차 시점이라는 매매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유심히 보면 추세적 매매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수 매도시점이 전형적인 무릎에 사고 어깨에 팔라는 격언을 생각나게 합니다. 즉, 상승추세로 전환되는 종목을 매수하고 하락 추세로 전환되는 종목은 매도로 대응하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문제는 추세가 불분명할 때에는 잦은 매매신호로 매매기법을 적용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다른 지표들을 참고로 하여야 합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떤 종목을 매매하시겠습니까? 당연히 +DI가 -DI 위에 있을 때 매매를 하셔야 하겠죠. 절대 추세에 반해서 성공하기는 힘들다는 것을 알려주는 지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매매기법 2 - 일시적 교차
위의 차트를 보면, 상승추세에 있던 종목이 조정후 상승 추세선의 지지 속에서 DI의 일시적 교차가 나타나면서 기존 추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시적 교차는 보통 기존의 추세가(상승추세이든 하락 추세이든 간에) 일시적인 조정 후에 다시 에너지를 보강하여 추세를 강화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승추세에서 일시적 교차 후 상승추세 강화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 추세에서는 반대의 모양새가 나오겠죠. -DI > +DI 상태에서 +DI가 -DI를 상향 돌파했음에도 불구하고 톱니처럼 새로운 고점을 형성하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또한 이런 것이 반복된다면 매수유보 전략을 적용해야 합니다. 보통 일시적 교차는 주요 저항선과 지지선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어느 기술적 분석과 마찬가지로 잦은 매매신호로 속임수가 나올 가능성이 많은데, 항상 기술적 보조지표의 속임수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많은 연습을 해야 합니다.
매매기법 3 - +DI와 -DI의 이격 분석
이번에는 이격 분석입니다. 보통 +DI가 -DI를 상향 돌파하면 매수시점이죠. +DI와 -DI가 점점 간격이 벌어진다면 상승추세 강화로 생각하면 됩니다. 하락추세에서는 반대겠죠.
또한 이격을 통해 이격이 확대되다가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하고 줄어드는 시점을 이용한 매매기법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차트를 보실까요.
위의 차트를 정리해 보면, +DI가 -DI를 상향 돌파 후(매수) +DI > -DI 상태에서 이격이 점점 커질 때(상승추세 지속)는 매수나 홀딩 포지션을 계속 유지하고, 반대일 경우, 즉 +DI < -DI 상태에서 이격이 커지는 상태에서 주식을 매입하면 리스크가 상존합니다. 또한 이격이 확대되거나 줄어들기 시작하는 시점을 매수 매도시점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DMI는 DI의 교차점을 매매 타이밍으로 잡지만 차트를 자세히 보면 대부분의 경우 주가는 그 이전에 상승추세나 하락 추세로의 전환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이격을 이용해 매매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추세 방향과 일치하는 ADX
이번 시간에는 DMI에 ADX라는 것을 첨부시켜 알아보겠습니다. DMI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나온 지표로 DMI에서의 속임수를 많이 줄일 수 있어 같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ADX는 '주가가 상승이든 하락이든 추세가 진행되면 상승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전 차트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 ADX가 상승하고 있으면 강세이든 약세이든 확실한 추세를 가지고 있다.
- ADX가 하락하고 있으면 일반적으로 기준 추세 약화나 횡보국면 돌입이다.
위의 실전 차트를 보면, ADX가 상승을 하면 어느 방향이든 확실한 추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ADX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은 기존의 추세가 약화되는 징후와 함께 주가의 추세가 뚜렷하지 않다는 것을 상징합니다.
ADX만으로 실전 매매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DMI과 같이 병행하여 매매시점을 찾아보기로 하겠습니다.
DMI와 ADX를 이용한 실전 매매기법
앞서 설명한 ADX의 움직임을 통해서 DMI로 매수 매도시점을 포착할 수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약간 복잡해서 자세히 반복해서 읽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전 차트를 보실까요.
ADX 상승 시 +DI가 -DI를 상향 돌파한다면 매수, ADX 상승시 -DI가 +DI를 하향 돌파한다면 매도, 이는 ADX가 상승 시에는 추세가 확실하게 결정이 된 상태이기 때문에 시장의 방향대로 매매를 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기법도 있습니다. +DI가 -DI를 상향 돌파하고 이격을 넓히면서 ADX가 20선을 상향 돌파하다면 상승추세 강화로 보는 것입니다. ADX가 하락한다면 어떨까요?
보통 ADX가 하락할 시에는 기존 추세가 약화되고 있음을 암시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보통 ADX가 하락하고 있다가 상승으로 돌아설 때 DI의 교차가 어떻게 발생되는가에 따라 그 방향대로 움직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또한 ADX가 하락할 때는 주가 움직임의 추세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스톡캐스틱과 같은 진동자 지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DMI지표는 RSI나 스톡캐스틱과 병행한다면 아주 좋은 조합이 될 수 있습니다. 좀 복잡하더라도 차트에 많이 적용해 보고 소화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한번 정리해 볼까요
- DMI지표란 주가 움직임의 추세와 추세의 변화를 찾는 데 유용한 지표로 지금 시장이 추세 시장인지 아닌지, 상승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를 알려준다.
- +DI, -DI, ADX
- +DI : 상승하려는 힘, 즉 주가의 상승과 강도를 나타냄
- -DI : 하락하려는 힘, 즉 주가의 하락과 강도를 나타냄
- ADX : ADX가 상승을 하고 있다면 어느 방향이든 확실한 추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ADX가 하락을 하고 있다는 것은 기존의 추세가 약화되는 징후와 함께 주가의 추세가 뚜렷하지 않다는 것을 상징함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밴드폭을 이용한 매매기법 볼린저밴드 (0) | 2022.07.30 |
---|---|
포물선을 통해 추세를 파악하는 파라볼릭 지표 (0) | 2022.07.28 |
CCI를 통해 매수 매도시점 찾기 (0) | 2022.07.26 |
주가 움직임의 강도 측정 RSI (0) | 2022.07.26 |
추세변화를 알려주는 힌지, 리테스트, 워닝, 추세전환예고 분기현상 (0) | 2022.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