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이동평균선의 지지와 저항을 알아보자

by 보물창고문지기 2022. 7. 3.
반응형

이동평균선의 지지와 저항을 알아보자

전 시간까지 여러분은 완연한 하락 추세의 종목들을 걸러내고, 그 나머지 종목들 중에서 20일 이동평균선과 5일 이동평균선의 기울기로 향후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 법을 배우셨습니다.

오늘은 현재의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앞으로는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 예측하는 방법을 배우실 겁니다.

과거는 현재를, 현재는 미래를 알 수 있다

뉴스에서 증권사 직원이 나와 주식시황을 이야기할 때 늘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종합주가지수가 820선의 저항을 받으며, 차익매물이 쏟아져 805P로 마감하였습니다."

"코스닥 지수가 78P의 지지를 받으며 80P를 지켜냈습니다."

주식시장의 시황을 설명할 때나 기술적 분석에 대해 설명을 할 때 너무나 많이 나오는 단어가 '지지'와 '저항'입니다. 과연 지지는 무엇이고, 저항은 무엇일까요?

일반적으로 지지와 저항은 이동평균선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이동평균선이야말로 가장 쉽고도 중요한 것으로 지지와 저항의 잣대로 사용됩니다. 우선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지지와 저항의 강도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일반적으로 단기 이동평균선 < 중기 이동평균선 < 장기 이동평균선의 순으로 그 역할을 나눌 수 있습니다.

앞에서 배운 것처럼 역배열의 이동평균선들이 주가의 위에 있다면 그만큼 저항선이 많아 상승에 어려움이 크고, 반대로 정배열의 이동평균선이 주가 밑에 있다면 하락 시마다 지지선 역할을 하므로 손절이 용이하고 반등할 가능성도 크다는 것입니다. 인생이 항상 과거는 현재에, 현재는 미래에 영향을 주기 마련이듯 주가 시장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과거 행적인 이동평균선은 현재 주가와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움직이고, 이로 인해 미래 주가의 향방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 속에서 지지와 저항의 흔적을 찾고 앞으로의 매매에 응용해 볼 수 있는 것이죠.

지금부터 지지선과 저항선에 대해 알아볼까요.

 

지지와 저항을 체크하라

우선 차트를 보세요.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시점에서의 주가는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이동평균선에 부딪쳐 이동평균선의 저항을 받으며, 자꾸 이동평균선 아래에 매달려 흐르는 모습입니다. 반대로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시점에서의 주가는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하지 않고 이동평균선 위를 타고 이동평균선의 지지르 받으며, 상승을 지속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것을 이동평균선의 지지와 저항이라고 표현하는 거죠.

이동평균선을 잘 관찰해 보면, 급하게 바닥을 향해 달려가던 5일 이동평균선이 돌연 급제동을 걸면서 방향을 바꾸려 하지만 20일 이동평균선의 저항에 주가의 상승이 지지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중요한 사항은 지지와 지지의 역할을 하던 이동평균선은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깨고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곧바로 성격을 바꾸어 주가의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저항으로 돌변하게 됩니다.

이동평균선의 지지
이제 지지선을 배워볼까요?

우선 여러분이 알아두어야 할 것은 지지선과 저항선은 같은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즉, 저항선은 후에 지지선으로 바뀔 수가 있으며, 지지선은 다시 저항선으로 바뀔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주가가 저항선을 상향 돌파했을 경우 저항선은 지지선으로 돌변하여, 주가가 지지선을 하향 돌파하였을 경우 지지선은 다시 저항선으로 돌변을 하게 됩니다. 다음 차트를 보시죠.

앞에서 이동평균선의 저항을 차트상에서 주로 보셨다면, 다음 나올 차트에서는 반대로 저항을 보이던 이동평균선이 주가의 밑에서 상승에 버팀목 역할을 하는 지지선으로 바뀌어 있습니다.

위의 차트를 보면 왼쪽 노란색 원 안의 캔들 모양은 저항선에 부딪혀서 주가가 더 이상 오르지 않는 모습이며, 오른쪽 원 안의 캔들은 지지선의 확실한 지지를 받으며 상승을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어떤 이동평균선 모양에 매수하고 어떤 이동평균선 모양에 매수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지지와 저항을 이용해서 바로 매매에 응용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깨고 내려오는 경우 매도시점으로,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는 매수시점으로 판단이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혹시 단기적으로 거래하시는 분들은 이런 차트를 보고 어떻게 거래하냐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단기 이동평균선인 5일, 10일, 20일 이동평균선의 지지와 저항을 이용하여 거래한다면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한번 정리해 볼까요

  • 강한 상승이 진행중인 주식은 이동평균선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승 지속된다.
  • 하락 진행중인 주식의 경우 이동평균선의 저항을 받아 상승 저지된다.
  • 지지가 깨어나고 나면 이동평균선은 저항선으로 작용한다.
  •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위)로 미끄러져 내려오면(올라가면) 매도(매수) 시점이다.
  • 저항선은 후에 지지선으로 바뀔 수가 있으며, 지지선은 다시 저항선으로 바뀔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