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운형(Dark-cloud cover)과 관통형(Piercing pattern)의 모든 것
흑운형과 관통형은 중요한 반전 신호를 나타내는 패턴이므로 알아두면 무척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흑운형(Dark-cloud cover)
흑운, 쉽게 풀이하면 먹구름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상승 추세에서 이 흑운형이 나타나면 청아한 하늘에 먹구름이 끼는 현상으로 언제 천둥 번개가 칠지 모르는 폭풍전야를 예고합니다. 그러므로 상승추세에서 흑운형이 나타날 때에는 매도를 고려하는 것이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선 흑운형은 상승추세에서 나타나고 관통형보다는 신뢰성이 높습니다. 형태를 보시죠.
형태를 보면 누구나 긴 음봉에 매도를 고려해야 하는 걸 쉽게 알 수 있지만 이것이 흑운형이란 걸 안다면 매도를 실행에 옮기는 것은 당연하겠죠.
흑운형의 특징
- 첫째 날은 상승이 지속되는 가운데 긴 양봉이 출현한다.
- 둘째 날은 첫째 날의 고가(high) 보다 높은 가격으로 시가(Open)가 발생한다.
- 둘째 날의 종가(Close)는 첫째 날의 양선의 중간 이하와 저가(Low) 사이에서 결정된다.
와! 대단하죠. 혹시나 더 오를까봐 가지고 있었더니 쭉 빠지는군요.
여러분은 이제 흑운형을 아셨으니 보유종목에 흑운형이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매도할 수 있으시겠죠.
상승반전형은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나 주식투자의 참맛은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있으므로 항상 상승반전형 패턴보다는 하락반전형 패턴에 더 열심히 공부하셔야 합니다.
다음은 상승추세의 흑운형과 대비되는 하락 추세의 바닥에서 나타나는 관통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까요?
관통형(Piercing Pattern)
관통형은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하기 위하여 기존 추세를 꿰뚫고 나온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락장세에서 상승 장세로의 반전을 의미하는 신호로 쓰이기도 합니다만, 관통형은 앞서 설명한 흑운형에 비해서는 그 자체의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그러므로 다른 보조지표와 같이 비교하여 주가의 방향성을 예측해야 합니다.
흑운형과 반대로 음봉 다음에 긴 양봉이 발생할 경우에 매수를 고려하는 것은 누구나의 생각이고 관통형을 배운 여러분은 이미 매수를 하였을 것입니다.
관통형의 특징
- 첫째 날은 하락이 지속되는 가운데 긴 음봉이 발생한다.
- 둘째 날은 첫째 날의 저가(Low) 보다 낮은 가격에서 시가(Open)가 형성되는 양봉이 발생한다.
- 둘째 날의 종가(Close)는 첫째 날의 양봉의 중간 이상과 고가(Open) 사이에서 형성된다.
자신감이 생기시나요? 캔들이 이제 눈에 좀 들어오나요? 그럼, 지금 당장 관심 있는 종목이나 보유한 종목의 캔들차트를 보면서 한번 실력을 발휘해 보세요.
지금까지 배운 내용이 이해가 되시나요? 지금까지의 패턴을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한번 정리해 볼까요
- 우산형 : 하락추세의 바닥에서 나타나는 해머와 상승추세의 머리에서 나타나는 행잉 맨
- 장악형 : 상승추세에서 하락 추세로의 반전 신호인 하락장악형과 하락 추세에서 상승추세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상승장악형
- 포아형 : 장악형의 첫 번째 캔들과 두 번째 캔들의 위치가 바뀐 것
- 흑운형 : 상승추세의 막바지에서 하락 전환 신호로 사용
- 관통형 : 하락 추세의 바닥에서 나타나며 추가적인 상승 신호로 사용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형을 알면 수익이 보인다 (0) | 2022.07.23 |
---|---|
별모양 반전형 캔들 (0) | 2022.07.23 |
여기서 사서 저기서 파는 반전형 캔들 (0) | 2022.07.20 |
반전을 알리는 캔들의 기본형 (0) | 2022.07.17 |
알짜배기 도지(Doji)를 찾아라 (0) | 2022.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