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단기 지표의 최고봉 스톡캐스틱

by 보물창고문지기 2022. 7. 24.
반응형

단기 지표의  최고봉 스톡캐스틱

최근에 데이트레이딩의 인기로 많은 사람들이 단타 매매를 하고 있습니다. 단시간 내에 수익의 극대화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데이트레이더는 어떤 지표를 많이 사용할까요?

사용빈도수와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스톡캐스틱이라는 보조지표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부터 우리는 여러 가지 보조지표를 알아보려 합니다. 스톡캐스틱 및 여러 보조지표들을 통해 주식이 배고픈지, 아니면 과식을 하고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투자판단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스톡캐스틱의 매매 기법을 잘 이해하시면 다음에 배울 RSI, CCI 그리고 MACD 등의 지표를 이해하시는 데도 아주 쉽습니다.

지금부터 단기 매매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톡캐스틱이라는 지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톡캐스틱의 기본적인 매매기법 2가지

스톡캐스틱이란 최근의 주가 변동폭과 당일 종가의 관계를 이용해서 향후 주가의 방향을 예측하여 지표를 분석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즉, 현재 주가가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기도 합니다.

스톡캐스틱은 민감하고 빠른 %K선과 둔하고 느린 %D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차근차근 실전 차트를 통해 실제적인 매매기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기본저인 스톡캐스틱 매매기법부터 알아봅니다.

매매기법 1 - 과매수 과매도 구간을 찾아라

첫 번째 매매기법은 오실레이터가 20 범위 아래로 하락하면 매수하고 80 범위 위로 상승하면 매도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보통 80 이상 과매수, 20 미만 과매도라는 표현을 씁니다. 과매수, 과매도 구간의 구분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과매수 구간은 70, 과매도 구간을 30으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쉽게 과하게 매수한 상태와 과하게 매도한 상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먹는 것으로 따지자면 과매수는 너무 많이 먹어서 탈이 날 정도이고, 과매도는 주식이 배고파 죽겠다는 신호로 보면 됩니다. 배탈이 나면 소화제를 먹어 배를 가라 앉혀야 하고, 너무 못 먹으면 소화불량에 걸리듯이 영양보충을 잘해야 합니다.

주식도 똑같습니다. 매수자가 너무 많아 과열이 되면 식혀 달라는 신호를 보내고, 너무 빠지면 배가 고프다는 신호를 보냅니다. 이것은 또한 과매수 구간에서의 적극적인 매수는 리스크가 상존한다는 것을, 과매도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매도를 자제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과매수 과매도 신호는 횡보국면에서는 적용하기가 쉽지만 상승 하락 추세에서는 효과가 반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중에 언급을 하겠지만 강한 종목, 즉 상승추세에 있는 종목은 과매도 구간에 도달하지 않고 움직이는 경우가 많고, 끝없이 하락을 보이는 주식은 지속적으로 과매도 구간에서 좀처럼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다음 방법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상승추세에 있을 경우에는 다음에 배울 교차매매 기법에서 매수신호만 선택하고, 하락 추세에서는 매도신호만 선택하는 것입니다. 과매수 과매도 구간의 실전 차트를 보실까요?

위 차트 하단에 두 개의 선이 보이시죠? 그렇습니다.! 이 두 선들이 등락을 거듭하며 교차를 보이고 있는데, 20 미만에서 매수를 고려했다면 좋은 성과를 얻었을 것이고, 80 이상에서 매도를 고려하였다면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아주 정석적인 차트입니다. 이 두선의 교차를 이용해 매수 매도기법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매매기법2 - %K선과 %D선의 교차 신호

두 번째 매매기법은 %K선과 %D선 위로 상향 돌파하면 매수하고, %K선이 %D선 아래로 하향 돌파하면 매도한다. 특히, 과매수 상태(80 이상)와 과매도 상태(20 이하)에서의 교차는 강력한 매도 매수신호라는 것입니다. 무조건 교차가 이루어진다고 매매에 임하는 것보다는 과매수 구간과 과매도 구간에서의 %K와 %D의 교차가 더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이 방법을 많이 이용합니다.

위의 차트도 %K와 %D의 교차 시점을 통해 매수 매도의 적절한 시점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과매수 과매도 구간에서 신뢰도가 높다는 점도 아셨죠. 자세히 보면, 느린 %D선이 위로든 아래로든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K선이 교차를 하게 되면 매매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밖에 상승추세 시에는 과매도권(20% 미만)으로 내려오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40~60% 구간에서 %K와 %D가 하락이 둔화되어 서로 교차하면서 매수신호를 보낼 때 매수를 고려해 보는 것이 좋고, 하락추세시에는 과매도권에서 매수신호가 포착되더라도 두 선이 20%를 확실히 돌파한 후 50% 구간을 확실히 뚫는가를 유심히 살핀 후 매수하여야 합니다. 50% 전후에서 다시 %K와 %D가 둔화되면서 매도신호를 보낸다면 다시 깊은 하락으로 전환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지금 배운 가장 기본적인 스톡캐스틱의 2가지 매매기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스톡캐스틱의 특징
오실레이터가 20범위 아래로 하락하면 매수, 80범위 위로 상승하면 매도를 고려한다.
%K선이 %D선 위로 상향 돌파하면 매수하고, %K선이 %D선 아래로 하향 돌파하면 매도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