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투자자의 필수 자료 삼선전환도
MACD와 더불어서 중기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삼선전환도를 보는 법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전문 투자자들은 삼선전환도를 많이 보는데, 그 이유는 미래의 예측을 어느 정도 하고 매매를 하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그 종목에 대해 잘 분석하였다고 하더라도, 중기 추세가 하락으로 기울고 있다면 단기 이익밖에 거둘 수 없을 것입니다. 중기 추세를 분석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매우 중요한데, 중기 투자자와 종목의 추세를 살피기 위해 꼭 필요한 지표가 삼선전환도입니다.
중기 투자와 중기 추세를 예측해 볼 수 있는 보조지표인 삼선전환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삼선전환도란?
삼선전환도는 시간의 흐름을 무시하고 오로지 가격만을 따져서 작성하는 지표입니다. 작성하는 방법은 종가 기준으로 상승과 하락 시 막대형으로 표시하고 새로운 고가나 저가 발생 시에만 도표에 표시합니다.
가격지표이기는 하지만 작성된 차트상에서 추세를 나타내므로 추세지표로서의 기능도 가지게 됩니다. 이 지표는 기간이 무시되어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매매에는 부적당하고 중장기적인 투자판단에 적정한 지표입니다.
삼선전환도는 전환하는 모습으로 중장기 투자를 판단하게 됩니다. 즉,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잡기보다는 어떠한 전환의 모습을 보이는가에 따라 그 종목의 추세를 파악하게 됩니다.
삼선전환도에는 어떠한 전환 신호를 보여줄까요? 삼선전환도는 크게 2가지의 전환 모습을 보여줍니다.
양전환 | 직전의 하락선 3개를 돌파하는 상승(3선전환)발생시 추세상승 전환으로 판단 -> 상승추세 |
음전환 | 직전의 상승선 3개를 하향 이탈하는 하락발생시 추세전환으로 판단 -> 하락추세 |
삼선전환도는 어떠한 모습일까요? 정말, 위 2가지만 알아도 추세 파악이 가능할까요?
우선, 가능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삼선전환도는 특정 매매포착에 이용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종목의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 즉, 상승추세인가 아니면 하락 추세인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럼, 삼선전환도를 실전 투자에서는 어떻게 이용하는지 알아볼까요? 그리고 양전환과 음전환은 어떻게 판단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양전환과 음전환 신호로 매매 판단한다
장기 투자자라면 그 종목의 추세를 반드시 살펴야 한다고 계속 강조를 해드렸습니다. 물론, 단기 투자자들도 추세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추세란 주식시장의 전체 흐름이며, 작게는 자신의 종목에 대한 흐름이기도 합니다. 상승 흐름을 타고 있는지, 아니면 하락 흐름을 타고 있는지 판단을 하게 해 줍니다.
흐름을 파악한 후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것은 당연히 그 흐름에 몸을 맡기는 것입니다. 어떠한 몸부림도 없이 그대로 흘러가기 때문입니다. 즉, 주식시장에서 상승 흐름을 타는 종목을 선택하여 매매한다면, 그 종목에 대해 분석하고 신경을 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상승을 유지하여 이익을 낼 수가 있습니다.
반대로, 주식시장의 추세를 모른다면 하락의 흐름을 타는 종목을 선택하여, 마음고생과 온통 신경을 다 그 종목에 써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지 모릅니다. 바쁜 세상에 그런 것에 신경을 쓸 수는 없겠죠? 이제 여러분들은 편하게 주식을 사고팔아 이익을 남겨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추세 파악과 함께 종목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럼, 삼선전환도의 전환 신호를 알아보겠습니다.
양전환
직전의 하락선 3개를 돌파하는 상승(3선 전환) 발생 시 추세 상승 전환으로 판단하여 매수를 고려하게 됩니다. 이때 속임수형을 피하기 위해 이전의 음선을 상향 돌파하는 수를 늘려서 5선 전환, 7선 전환 때까지 추세판단을 유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트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음전환
직전의 하락선 3개를 하향 이탈하는 하락 발생 시 추세전환으로 판단하여 매도를 고려하게 됩니다. 이때 속임수형을 피하기 위해 이전의 양선을 하향 돌파하는 수를 늘려서 5선 전환, 7선 전환 때까지 추세판단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차트를 보실까요.
삼선전환도는 분석 방법이 간단하여 일시적인 주가 변동에 속지 않고 분명하게 투자를 결정할 수 있는 반면에 그 이용상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별주의 경우 단기간 주가등락이 반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삼선전환도를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고 지속적으로 상한가 또는 하한가와 같이 큰 폭의 변동을 보이는 종목에도 적용하기 힘듭니다. 또한, 매도 또는 매수 전환의 신호를 나타내는 하락선이 예상외로 크게 형성될 때 삼선전환이 쉽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하락과 상승의 전환 신호가 잘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10% 플랜 병용법을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삼선전환도에서 주가가 상승할 때 상승 정점에서 10% 이상 하락하면 하락 전환이 나타나지 않아도 매도하고, 반대로 하락저점에서 10% 상승하면 상승 전환이 되지 않아도 매입하는 방법입니다.
물론, 각 개인의 경험이나 매매형태에 따라 적용하는 %는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잘 보셨나요? 작성법도 간단하고 매매신호 역시 간단하지만 실제의 매매에 적용하기에는 약간은 부족한 감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팔라'는 주식 격언에 딱 어울리는 신호를 주는 지표로 여러 가지 지표와 함께 사용하면서 매매 판단에 참고로 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지표입니다.
한번 정리해 볼까요
- 중장기 투자에는 꼭 삼선전환도를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 삼선전환도는 음전환과 양전환 신호로 매매 판단을 한다.
- 삼선전환도는 5선, 7선 전환까지 매매 판단을 유보할 수 있다.
- 이전의 봉의 길이가 긴 경우 매매신호가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고점과 저점 대비 10% 매매법을 활용한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량 분석지표의 대명사 OBV (0) | 2022.08.11 |
---|---|
시장심리를 읽어내는 심리선 (0) | 2022.08.10 |
시세의 강도를 나타내는 ROC (0) | 2022.08.07 |
중기 지표의 대명사 MACD (0) | 2022.08.06 |
시세에 선행하는 모멘텀지표 (0) | 2022.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