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 분석지표의 대명사 OBV
주식시장에서 거래량은 무척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종목에 관한 분석을 할 때 이동평균선과 거래량은 기본적인 분석입니다. 그럼, 거래량을 분석하는 보조지표 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지표는 무엇일까요? 바로 OBV라는 보조지표입니다.
현재 거래량 분석에는 OBV가 자주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거래량을 분석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종목에 관한 거래량 분석은 그 주식이 어떠한 형태로 매매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이 가능합니다. 매수에 얼마만큼의 관심이 있는지, 매도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거래량 분석에 대해 많이 활용되는 보조지표인 OBV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BV란?
이동평균선에서 '그랜빌의 법칙'을 배우셨을 것입니다. 주가는 이동평균선에 회귀하려는 속성이 있다는 것을 이용한 매매기법이었죠. 여기에서 파생된 것이 OBV지표입니다.
'거래량은 시세의 원동력이며 거래량은 주가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그랜빌의 이론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OBV(On Balance Volume)는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거래량을 통해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즉, OBV선은 이전의 거래량에서 배운 거래량 이동평균선과 마찬가지로 거래량의 동향에 따른 주가 분석 도구입니다.
OBV지표를 이용하는 목적은 전체 시장이 매집단계에 있는지 아니면 분산 단계에 있는지를 광범위하게 나타내므로 앞으로 주가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는 데 있습니다. OBV선은 매일의 주가와 거래량의 변동을 함께 기록해 나가는 것으로 차트상에는 보통 섬세한 지그재그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OBV 작성방법
작성 방법은 어느 특정일을 기준일로 하여 주가가 상승한 날의 거래량 누계와 하락한 날의 거래량 누계와이 차를 구해서 주가 상승일의 거래량은 더하고 하락일의 거래량은 뺀 것을 누계하여 도표화한 것이 OBV선이 됩니다.
어렵다고요? 누차 말씀드리지만 계산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국내의 홈트레이딩에서 다 제공하고 있습니다. OBV선이 어떤 것인가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OBV 작성방법
- 어느 특정일을 기준일로 정하여 그 날의 거래량을 OBV로 한다.
- 주가 상승일의 거래량은 전량 매수했다고 보고 전일 OBV에 가산한다.
- 주가 하락일의 거래량은 전량 매도했다고 보고 전일 OBV에 차감한다.
- 주가 무변동일의 거래량은 무시하고 전일 OBV를 그대로 이용한다.
위의 그림을 보면, OBV선상에서 직전의 정상(peak)을 상회하면서, 주가가 올라가는 경우는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U마크(up)를 표시하고, 직전의 바닥(bottom)을 하회해서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는 D마크(down)를 나타내는데 아래의 그림과 설명을 보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위의 그림처럼 직접 U마크와 D마크를 표시해서 보여주는 곳은 아직 없는 것 같습니다.
OBV지표에 직접 표시해 가면서 연습해 보면 실전에서의 이해가 좀 더 빨라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매수신호
OBV선의 장기 추세가 상향하고 있는 경우, 도중에서 D마크가 나타나면 매입 신호입니다. 또한 진행하고 있는 상승추세선상에 나타나는 최초의 U마크는 매입 신호입니다.
D마크가 나타난 수일 후, 만약 OBV선이 중요한 지지 선상에 있으면 매입 신호입니다.
U마크가 하나 혹은 둘 나타나면서 OBV선이 하향 추세선을 상향 돌파할 때는 매입 신호입니다.
매도신호
장기추세선이 하향으로 가고 있는 도중, U마크가 나타나면 매도신호입니다.
하락을 계속하고 있는 추세선상에 나타나는 최초의 D마크는 매도신호입니다.
U마크가 하나 혹은 둘 나타나면서 OBV선이 지지선을 돌파해서 하향할 때는 매도신호입니다.
OBV지표의 결점
물론, OBV지표에도 결점이 있습니다.
OBV는 주가 상승 시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하락 시는 다소 둔감한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주가가 하락 전환해도 천장권의 OBV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아 매도시기를 놓치는 결점이 있습니다. 또한 OBV선은 기준일에 따라서 분석이 다르게 됩니다. 기준일을 활황국면에서 잡으면 주가의 하락 전환 시 느린 신호가 되어 분석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OBV지표가 선행지표로서 작용하지만 직접적인 매매신호로 사용하기에는 가격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어 어려움이 있습니다. 실전 매매에서는 OBV지표의 단일 신호에 의존하는 매매보다는 다른 가격지표와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자전거래가 발생한 종목의 경우, 거래량 지표의 왜곡현상이 발생하므로 OBV지표를 적용하기에는 부적절합니다.
한번 정리해 볼까요
- OBV지표란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거래량을 통해 분석하는 기법을 말한다.
- OBV지표는 전체 시장이 매집 단계에 있는지 아니면 분산 단계에 있는지에 대한 판단과 주가의 변화 방향에 대한 예측을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U마크(up)는 OBV선상에서 직전의 정상(peak)을 상회하면서, 주가가 올라가는 경우이다.
- D마크(down)는 직전의 바닥(bottom)을 하회해서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이다.
- OBV 매수신호
- OBV선의 장기 추세가 상향하고 있는 도중에서 D마크가 나타는 경우
- 진행하고 있는 상승추세선상에 나타나는 최초의 마크
- D마크가 나타난 수일 후, 만약 OBV선이 중요한 지지 선상에 있을 경우
- U마크가 하나 혹은 둘 나타나면서 OBV선이 하향 추세선을 상향 돌파할 경우
- OBV 매도신호
- 장기 추세선이 하향으로 가고 있는 경우 도중에서 U마크가 나타날 경우
- 하락을 계속하고 있는 추세선상에 나타나는 최초의 U마크
- U마크가 하나 혹은 둘 나타나면서 OBV선이 지지선을 돌파해서 하향 돌파할 경우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턴 분석 기초부터 알고 하자 (0) | 2022.08.13 |
---|---|
OBV의 단점을 보완한 VR (0) | 2022.08.12 |
시장심리를 읽어내는 심리선 (0) | 2022.08.10 |
중기 투자자의 필수 자료 삼선전환도 (0) | 2022.08.07 |
시세의 강도를 나타내는 ROC (0) | 2022.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