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선을 직접 그려 보자
주가 움직임의 고점과 저점이 추세의 지지와 저항을 만든다고 하였습니다. 추세선이란 주가의 움직임에서 고점은 고점(하락 추세 시)끼리 그리고 저점은 저점(상승추세 시)끼리 연결한 직선을 말합니다.
그림을 보실까요?
즉, 상승추세선은 하락을 방어해 주는 일종의 지지선 역할을 해주고, 하락 추세선은 더 이상의 상승을 가로막는 일종의 저항선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세선을 만드는 데는 몇 가지 요건이 필요합니다.
먼저 두 점이 있어야 합니다. 선을 그을려면 당연하겠죠. 다음으로 상승 추세선이 확인되기 위해서는 고점인 지점을 다시 돌파하는 주가의 상승세가 있어야 합니다. 반대로 하락 추세선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저점을 돌파하는 주가의 하락세가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추세선을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요?
여러 가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앞서 추세가 한번 만들어지면 주가는 그 추세 내에서 움직이려는 성질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원리를 볼까요?
만약 상승추세에 있다면 주가가 추세선에 다가올수록 매수의 기회로 이용할 수 있고, 반대로 하락 추세에서는 주가가 추세선에 가까워질수록 매도의 기회로 보면 됩니다. 또한 상승추세 시 추세선을 확실히 이탈한다면 그동안의 상승추세의 힘이 다 소진되었다고 보고 매도를 준비하여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주가의 성질이 변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차트를 한번 볼까요.
그럼 어떤 추세가 신임을 많이 받을까요?
보통 상승추세의 경우 추세선을 만들고 있는 저점의 수가 많을 수록 추세선의 신뢰가 크고, 또한 추세선의 길이가 길수록 신뢰가 커집니다. 6개월에 걸쳐 만들어진 추세선이 6주보다는 신뢰가 크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약 너무 추세선이 짧은 경우에는 이것이 추세가 형성됐는지 아닌지 확신이 서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을 하여야 합니다.
또한 추세선 기울기에도 신뢰의 차이가 있는데, 장답은 없지만 보통 상승추세선의 경우 45도 기울기에 접근할수록 신뢰도가 높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상승 추세선이 너무 가파르면 단기간 안에 쉽게 무너질 수 있다는 점과 너무 기울기가 완만하면 추세의 힘이 약해 상승추세라고 확신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상승이든, 하락이든 추세가 형성되면 유사한 기울기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기울기가 갑자기 급해지거나 작아지면 현 추세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의심을 해보아야 합니다.
추세선이 변화하고 있죠. 이런 것을 보통 '추세의 조정'이라고 합니다. 상승추세가 더 가파르게 움직이기도 하고 하락추세가 더 가파르게 움직이기도 합니다. 즉, 상승추세 시 기울기가 점점 커진다면 상승추세가 더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기울기가 점점 작아진다면 추세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는 주식을 매매할 때 이리저리 추세선을 마구 그어보면 아주 좋습니다. 그리고 매매한 종목에 책임을 지려면 일봉뿐만 아니라 주봉, 월봉을 보면서 중장기 추세는 어떠한지, 주요 지지와 저항 가격대가 어디인지 꼭 체크를 하고 임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세에 반해서 매매에 임하면, 즉 하락 추세에 있는 종목에 접근할 때는 뛰어난 매매술을 가지지 않는 한 수익내기가 힘들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합니다. 하락 추세의 종목은 추세의 전환이 확인되는 시점에 임해도 무리가 없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주가는 항상 정석대로 움직이질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HTS(Home Trading System)를 켜고 추세선을 대담하게 긋는 연습을 많이 해서 자신만의 노하우를 발견해야 합니다.
한번 정리해 볼까요
- 추세란 기술적 분석 중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개념으로 등락 속에 일정한 방향이 있다는 것, 즉 주식시장 혹은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을 말한다.
- 보통 주가흐름의 방향에 따라 상승추세, 하락 추세, 횡보 추세로 구분한다.
- 매수자의 힘이 매도자의 힘보다 커 주가의 하락을 멈추는 구간을 지지라 하고, 반대로 매도자의 힘이 더 강해 상승이 멈추어지는 시점을 저항이라고 한다.
- 일반적으로 1.거래량이 많을수록, 2. 장기적인 고점, 저점일수록 강도가 세고, 3. 여러 번 돌파 시도된 저항과 지지는 강도가 약해진다.
- 추세선이란 주가의 움직임에서 고점은 고점(하락추세시)끼리 그리고 저점은 저점(상승추세 시)끼리 그리고 저점은 저점(상승추세 시)끼리 연결한 직선을 말한다.
- 상승 추세선은 하락을 방어해 주는 일종의 지지선 역할을 해주고, 하락 추세선은 더 이상의 상승을 가로막는 일종의 저항선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1. 추세선은 저점의 수가 많을수록, 2. 길이가 길수록, 3. 45도 기울기에 근접할수록 신뢰도가 높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정폭을 파악하라 (0) | 2022.06.25 |
---|---|
추세대를 이용한 매매전략 세우기 (0) | 2022.06.19 |
지지와 저항으로 나의 적을 제거하라 (0) | 2022.06.19 |
추세를 아는 것은 성공 투자의 지름길 (0) | 2022.06.19 |
급등주의 거래량 조건 (0) | 2022.06.18 |
댓글